*Android Studio, JDK, SDK 설치가 되어있다는 전제 하에 시작합니다.
1. 지니모션(Genymotion Android Emulator) 설치
- 지니모션은 Virtual Box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로 이걸 이용해 분석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.
일단 회원가입 후 지니모션을 다운로드 한다(실행할 때 로그인을 해야 쓸 수 있으니까 꼭 해주길)
설치할 때 Virtual Box를 설치할 건지 물어보는데 이미 깔려 있으면 건너뛰어도 된다.
원하는 버전의 기기를 Add로 들어가 선택해 만들어준다.
실행하면 이런 창이 뜨는 경우가 있는데 반드시 꼭 Continue를 선택하길.. Download를 선택하면 다른거 추가로 다운받다가 새로운 에러가 생기는데 어떻게 고치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.
그냥 밥먹고 와보니까 제대로 작동되서 넘어갔다.
저기 홈화면에 있는 것들은 꼭 깔아야 한다.
먼저 플레이스토어를 깔고 난 뒤에 BusyBox, SSHDroid, Superuser, Google Korea input keyboard(keyboard input이었나??)를 스토어에서 검색해서 깔아준다.
SSHDroid도 작동하면 가상머신으로 SSH로 연결하기 위한 주소를 구해야 하는데 명령창에서 adb shell을 쳐보기 전에
환경 변수를 확인해 봐야 한다.
Path에 sdk\tool, sdk\platform-tools, jdk경로를 추가해 준다.
apktool, dex2jar를 추가한건 그냥 편하게 쓰려고 추가한 것!
저렇게 추가해주면 아무 디렉토리에서든 명령창에 명령어만 쳐주면 가능하다(저걸 몰라서 맨날 dex2jar폴더에 dex파일 놓고 이름 변경하고 고생을...)
그 다음에 지니모션에 환경설정을 들어가서 adb에 sdk경로를 지정해준다.
이렇게 안 해주면 가상머신에 adb로 붙을 때 자꾸 가상머신을 찾을 수 없다고 뜬다.
여기까지 해주면 진짜 끝난거 이제 명령창을 키고 adb shell을 쳐보자
이렇게 떠야합니다!!
저 상태에서 netcfg를 치면 가상머신에 SSH로 연결할 수 있는 주소가 나온다.
아이디, 패스워드, 포트는 root, admin, 22로 설정되어있다.
filezilla로 연결도 가능
*참고로 지니모션은 root권한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로 아까 깔았던 superuser는 루팅을 해주는 게 아니라 이미 루팅된 디바이스로부터 앱을 루트권한으로 실행할지 말지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.
'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 앱 취약점 분석 #2 (0) | 2017.08.09 |
---|---|
모바일 앱 취약점 분석 #1 (0) | 2017.08.09 |